체육의 위상과 중요성
1) 체육은 국민 복지의 중요한 핵심수단
□ 국민이 향유해야 할 기본권으로서 점진적 인식 변화
ㅇ 체육 참여자의 행복도가 79.6점에 달할 정도로 체육은 국민의 삶의 양식과 문화로 정착(국민체육진흥공단, 2007)
* 한국인의 행복지수 65.9점(세계평균 69점, 한국28위)/(동아일보, 세계가치관 조사,2007.8)
* 그리스와 스위스는 헌법에 포괄적 스포츠권 명시
□ 신체적 능력을 넘어 사회성 함양에 기여
ㅇ 유소년기의 신체조성과 건강체력의 발달이 학창시절과 성인기의 체력육성 및 건강유지의 기반을 형성
- 학생의 학업스트레스 해소, 왕따 및 비행 예방, 사회성 함양에 기여
ㅇ 건강 체력을 유지하는 성인은 근로능력을 장기간 보유할 수 있고 생산성 향상에도 도움
□ 건강수명 연장 및 의료비 절감 등 복지 역할
ㅇ 노인에게 체육은 건강회복, 외로움 극복을 넘어 체력회복을 통한 생산활동 인구로의 편입 기여
- 체육활동 참여자는 비참여자에 비해 질병발병률 최소 5%~16%, 의료서비스 이용빈도 연간 0.3 ~ 1.5회 감소 예상
* 체육활동 효과의 경제적 환산 : 연간의료비 1조4천억 절감, 치료 또는 요양시간 감소로 생산성 7조5천억(체육참여율 50% 가정) 효과 예상(서울대 스포츠산업연구센터, 규칙적인 체육활동 참여의 경제적 효과 연구,2007)
□ 건전한 여가선용 및 사회양극화 해소 등 사회적 가치에 기여
ㅇ 건전한 여가소비 기술의 학습기회를 제공하고 저소득층, 미참여자 체육활동 참여는 활기찬 사회 형성에 도움
ㅇ 장애인 체육활동은 재활을 넘어 신체적, 사회적 능력의 확대에 기여하고 비혈연가족, 외국인노동자 등 다문화가정의 화합에도 기여
2) 스포츠로 국가위상 제고 및 국민통합 확대
□ 세계판도의 변화와 스포츠의 국제사회에서의 역할 제고
ㅇ 구소련과 동구권 붕괴 이후 세계 경쟁은 하드파워 경쟁에서 소프트파워 경쟁으로 전환(체육과학연구원, 「스포츠외교력 강화방안」, 고은하 외, 2007)
ㅇ 소프트파워의 스포츠는 세계 공통의 신체언어로서 세계평화와 국가간 갈등해소에 도움
* 20008년 중국정부의 티베트 유혈진압으로 올림픽보이콧 움직임이 있었지만 여전히 올림픽은 정치와 분리되어야 한다는 사고가 지배적
□ 국제경기대회 및 외국 스포츠 무대에서의 활약으로 국가위상 제고
ㅇ 세계 각국은 올림픽을 개인경쟁에서 국가경쟁으로 확대시키며 국가위상 제고의 수단으로 스포츠 정책 추진
* 영국 ‘Sport: Raising the Game’, 호주 Strategy for High Performance Sport’ 등
* 베이징올림픽에서 중국은 1위, 일본은 ‘국가전략으로서의 탑(TOP)스포츠’ 계획을 발표하면서 3위 목표 추진
ㅇ 국민의 77.2%가 외국의 프로스포츠에서 활약하고 있는 선수들이 국위선양에 기여한다고 응답(한국리서치, 2002)
□ 체육발전과 국제경기대회 상위입상이 국민통합에 기여
ㅇ 국민의 70.4%가 전문체육 발전이 국가발전에 영향을 준다고 응답(문화체육관광부, 2006)
ㅇ 우리나라 국민은 2002년 월드컵을 통해 95%가 한국인이라는 자부심이 커졌으며 국민간의 친밀감(96%), 국민간의 신뢰(92%)가 커졌다고 응답(한국리서치, 2002)
3) 차세대 경제․산업적 가치의 전략산업
□ 글로벌 자본과 기업의 중요한 관심사로 급부상
ㅇ 스포츠는 최적의 글로벌 문화콘텐츠이자 경제콘텐츠로서 각광
ㅇ 2002월드컵축구대회 효과 : 약 26조원(한국경제연구원) 약 100조원(현대경제연구소) ㅇ일본의 2016년 올림픽 개최 효과 : 2조 8,000엔 추정 ㅇ세계 스포츠 용품 시장 : 2,351억 달러(235조원) |
구분 |
스포츠산업 |
영화산업 |
테마파크 |
잡지출판 |
성장률 |
6.6% |
5.7% |
4.2% |
2.7% |
* 자료 : PricewaterhouseCoopers,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: 2007-2011
□ 국내 스포츠산업 수요의 증가와 스포츠산업 규모의 성장
ㅇ 생활체육참여인구의 가파른 증가(2000년 34.4%→2006년 44.1%)와 국민소득 증가에 따른 참여의 질 확대 예상
* 스포츠의 주류문화 진입으로 고급스포츠의 대중화(골프내장객 연 776만명, 스키어 및 스노보더 연 690만명 등) 진전 (제일커뮤니케이션 브랜드마케팅연구소, 스포슈머즈 그들의 전력분석, 2006)
ㅇ 스포츠산업 규모는 2015년에 50조원 달성할 전망
구 분 |
‘06 |
‘10 |
‘15 |
비 고 |
스포츠산업규모 |
21조원 |
33조원 |
50조원 |
2010년까지 11.5%, 2011년 이후 9% 성장률 적용 |
* BRICs 등 8개 신흥시장에서 5천달러 이상 소득계층이 2005년 8,700만 가구에서 2015년 1억7천만 가구로 증가 예상(삼성경제연구소, 2007), 신흥 스포츠잠재국가 공략으로 스포츠의 경제적 효과 극대화 필요
'스포츠정책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포츠클럽법제화 방안에 관한 소고 (0) | 2009.07.22 |
---|---|
체육진흥정책의 진단과 미래전망 (0) | 2009.06.18 |
체육인공제회법 제정의 입법적 한계 (0) | 2009.04.15 |
북한의 국제체육 교류 현황 (0) | 2008.12.27 |
학교체육법 제정 필요성과 방향 (0) | 2008.12.27 |